Skip to content

조회 수 150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0||0


내 탓이요 내 탓이로소이다. .
                     글 : 손용익 그레고리오 선교사

사람들은 잘한 일에 대해선 자기가 했다고 뽐내지만
잘못한 일에 대해선 남의 탓으로 돌려 되려고 합니다.
공로를 쌓는 것은 자신의 탓, 공로를 잃는 것은 남의 탓!
그 안에는 분명 자신도 머물러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인정하지 않으려는 인간의 마음을 어떻게 관리를 해야
자신의 탓이라고 고백할 수 있을까요?

연못에 작은 돌을 하나 던져보십시오.
고요함 속에서 햇빛을 받아 금 은빛을 드러내던 연못이
금방 파장을 일으키고 고왔던 빛은 사라지고 맙니다.
돌을 던지게 한 것은 자신이지만 물결을 출렁이게 하여
빛을 잃게 만든 것에 대한 책임이 연못일까요?

연못에 유유히 놀고 있는 잉어들이 평화롭게 보이지만
먹이를 던져주는 순간부터는 평화로움이 사라집니다.
먹이를 먹기 위해 달려드는 모습들이 폭도와 같아서
오히려 마음의 평화를 잃어버릴 수도 있습니다.
누가 먹이를 던져주어 평화를 잃게 하였을까요?

수많은 정치인들이 국민을 위한 정치를 한다고 하지만
그들의 다툼을 바라보는 국민들은 인정을 하지 않습니다.
TV에서 그들이 깡패들처럼 싸워 되는 모습들을 보면서
저질이라고 욕을 하기도 하지만 그러나 돌이켜 볼 때
그러한 정치인들을 뽑은 사람들이 바로 국민입니다.

세계의 수많은 민족들 중에 우리민족만큼 뒤집는 일을
잘하는 민족은 없는 것 같습니다.
좋은 것은 받아드려 보존하고 잘못한 것에 대해서는
다시는 반복되지 않는 보완점을 만들어 가지 않고
뒤집어 버리려고 하는 것은 역사를 잃게 만들 뿐입니다.

보복을 하면 자신 또한 언젠가는 그 도마 위에서
난도질을 당할 수밖에 없습니다.
같은 우물 속에서 산 사람은 같은 환경의 물을 먹고
살아갈 수밖에 없습니다.
나는 아니라고 하지만 그도 그 안에 살고 있었습니다.

누가 누구를 욕하고 비방하기보다 바로세우지 못한
자신의 탓도 인정할 수 있어야 아름다움이 시작됩니다.
남을 탓하기 전에 나 역시 그 안에 존재하고 있었고
본의든 본의가 아니든 묵과하고 넘어 갈 수밖에 없었던
현실은 인정할 수 있어야 그 모습이 아름다울 것입니다.

맑은 영의 빛을 잃어가고 있는 우리들의 현실 속에서
나는 무엇을 하고 있었나를 되돌아보았으면 합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99 대구 성지순례(성모당 편) file 박채상 사비노 2018.07.07 156
198 용욱이의 글짓기 당선작 김수식(프란치스코) 2017.09.01 156
197 2015년 예비자 교리반을 마치면서(요한마타) 1 요한마타 2015.12.07 155
196 산호성당 본당의 날 행사 영상 1 김수식(프란치스코) 2017.08.09 154
195 두오모 성당 file 김수식(프란치스코) 2018.08.09 151
» 내 탓이오 내 탓이로소이다 김수식(프란치스코) 2018.02.17 150
193 일치는 내가 먼저 당신께로 늘벗 2016.05.12 150
192 이은진 신부님 강론말씀 (음악-은지) file 김수식(프란치스코) 2018.04.26 148
191 심판은 그때가 아닌 지금 이 시각에 / 사순 제1주간 월요일 3 file 늘벗 2016.02.16 148
190 이름난 가톨릭 신자/ 악마를 겁내지 마라 2 이반 2016.01.16 147
189 하느님의 뜻을 먼저 생각하는 삶/예수, 마리아, 요셉의 성가정 축일 1 file 늘벗 2015.12.29 141
188 기억해야 할 영화 ‘귀향’을 보고 1 file 늘벗 2016.03.09 140
187 자기다움을 회복하는 정화의 시기 / 재의 수요일 1 늘벗 2016.02.10 137
186 부활 file 김수식(프란치스코) 2019.04.21 136
185 본당 2017년도 꾸리아 친목회 김수식(프란치스코) 2017.10.30 136
184 수고많으셨어요^^ 심은애로사 2016.01.09 136
183 사랑에 녹는 용서 file 늘벗 2015.11.06 136
182 교구 성경잔치 출품영상 김수식(프란치스코) 2017.11.28 135
181 새해가 되었다는 의미 file 늘벗 2016.01.05 134
180 대구 성지순례(계산성당 편) file 박채상 사비노 2018.07.09 133
Board Pagination Prev 1 ...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 40 Next
/ 40
미 사 시 간
요 일 오 전 오 후 저 녁
   
    19:30
10:30  
    19:30
10:30  
  18:00
주일 10:30 19:30

51331 창원시 마산합포구 산호남12길 16 산호동성당
전화 : 055-241-6748 , 팩 스 : 055-242-6748

Copyright (C) 2019 Diocese of Masan. All rights reserved.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